이시카와 가쓰히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카와 가쓰히코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아이치 현립 오카자키 고등학교 에이스로 활약했으며, 1952년 나고야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1959년 은퇴할 때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1953년 최고 승률 타이틀을 획득했고, 1954년에는 팀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통산 59승 25패, 평균자책점 2.31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트럴 리그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센트럴 리그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 주니치 드래건스 선수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주니치 드래건스 선수 - 오카모토 신야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에서 중간 계투로 활약하며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최우수 중간 계투상을 수상하고 여러 팀에서 우승을 경험한 오카모토 신야는 은퇴 후 음식점 운영과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 아이치현 출신 - 미즈타니 유코
미즈타니 유코는 1985년 데뷔하여 다양한 애니메이션, 특히 《치비 마루코짱》의 언니 역과 미니 마우스 일본어 더빙으로 알려진 일본의 성우, 배우, 가수였으며, 폭넓은 음역과 연기력으로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으나 2016년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아이치현 출신 - 고토 라라
고토 라라는 일본의 프리 아나운서, 탤런트, 그리고 과거 SKE48 팀E의 멤버로서, SKE48과 AKB48 싱글 선발 멤버로 활동 후 졸업하여 현재 세인트 포스 소속으로 방송 리포터 및 캐스터로 활동 중이며 골프가 특기이다.
이시카와 가쓰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이시카와 가쓰히코 |
영어 표기 | Katsuhiko Ishikawa |
소속 구단 | 해당 없음 |
등번호 | 해당 없음 |
국적 | 일본 |
출생지 | 아이치현 니와군 후소정 |
생년월일 | 1933년 9월 19일 |
사망일 | 2013년 |
신장 | 179 |
체중 | 71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투수 |
프로 입단 연도 | 1952년 |
드래프트 순위 | 해당 없음 |
첫 출장 | 1952년 |
마지막 경기 | 1959년 |
연봉 | 해당 없음 |
경력 | |
선수 경력 | 나고야 드래건스 주니치 드래건스(1952 ~ 1959) |
고등학교 | 아이치현립 오카자키 고등학교 |
2. 선수 경력
오카자키 고등학교 시절 에이스 투수로 활약했으나, 1951년 여름 고시엔 현 예선 준준결승에서 패해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1952년 나고야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2년 차인 1953년부터 선발 투수로 자리 잡아 18승을 거두며 최고 승률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듬해 1954년에는 21승을 기록하며 팀의 센트럴 리그 첫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5] 1955년에도 17승을 올리며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하는 등 팀의 주축 투수로 활약했으나, 이후 부상으로 등판 횟수가 줄어들었고 1959년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5]
2. 1. 고등학교 시절
오카자키 고등학교에서는 에이스 투수로 활약했다. 1951년 여름 고시엔 아이치현 예선에 참가했으나, 준준결승에서 지슈칸 고등학교에 패배하여 고시엔 본선 무대에는 오르지 못했다. 고등학교 시절 동기로는 오자와 시게미츠가 있었고, 1년 후배로는 이노우에 노보루가 있었는데, 이들은 훗날 프로 야구팀에서 다시 만나 함께 뛰게 된다.2. 2. 프로 선수 시절
1952년 나고야 드래건스에 입단했다. 입단 2년 차인 1953년에는 스기시타 시게루에 이은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18승 4패, 평균자책점 2.31(리그 3위)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 해 승률 0.818로 오토모 다쿠미(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함께 최고 승률 타이틀을 공동으로 획득했다.이듬해인 1954년에는 개막전 선발 투수로 등판했으며, 시즌 21승을 거두며 팀의 센트럴 리그 첫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5] 그 해 니시테쓰 라이온스와 맞붙은 1954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2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승 1패를 기록, 팀의 일본 시리즈 제패에 힘을 보탰다.
1955년에도 17승을 올리며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고, 평균자책점 1.45로 리그 2위를 차지했다. 또한 2년 연속 개막전 선발 투수로 나섰으며, 5연속 완투 승리를 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부상으로 인해 등판 기회가 줄어들었고, 1959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5]
3. 은퇴 이후
1959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5] 은퇴 후에는 주니치 드래건스,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에서 매니저를 1970년까지 지냈으며 1971년 히로나카 전기에 입사했다.[5]
주니치 신문 2020년 10월 13일자 칼럼에 따르면 2013년경에 사망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6]
4. 상세 정보
아이치현립 오카자키 고등학교에서는 에이스 투수로 활약했으나, 1951년 여름 고시엔 현 예선 준준결승에서 패배하여 고시엔 본선 무대는 밟지 못했다. 고등학교 동기인 오자와 시게미쓰와 1년 후배 이노우에 노보루는 훗날 프로 야구팀에서 함께 뛰게 된다.
1952년 나고야 드래건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2년 차인 1953년부터 스기시타 시게루의 뒤를 잇는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18승을 거두고 리그 최고 승률 타이틀을 차지했다. 이듬해인 1954년에는 개막전 선발 투수로 나서는 등 시즌 21승을 기록하며 팀의 센트럴 리그 첫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5] 같은 해 니시테쓰 라이온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1승을 보태며 팀의 일본 시리즈 제패에 힘을 보탰다.
1955년에도 17승을 올리며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했고, 2년 연속 개막전 선발 투수로 등판해 5연속 완투승을 거두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부상으로 인해 등판 기회가 줄어들었고, 1959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5]
은퇴 후에는 친정팀 주니치와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에서 1970년까지 매니저를 역임했으며, 1971년에는 히로나카 전기에 입사했다.[5]
주니치 신문의 2020년 10월 13일자 보도를 통해 2013년경에 사망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6]
4. 1.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최고 승률 : 1회(1953년)